경제용어사전

효용, 한계효용

[utility, marginal utility]

효용이란 사람들이 재화나 서비스를 소비함으로써 얻는 만족이다. 한계효용은 한 재화나 서비스를 한 단위 더 소비함으로써 얻는 추가적 만족을 뜻한다. 한계(marginal)란 말은 ‘무엇을 하나 더 추가한다, 보탠다’는 뜻으로 상품 가격에 영향을 미친다. 어떤 상품의 한계효용은 그 상품의 소비량에 반비례한다. 예를 들어 물은 부존량이 풍부하고 사람들이 일상생활에서 많이 소비하고 있다. 따라서 물의 한계효용은 낮다.

반면 다이아몬드의 부존량은 많지 않고 소비량은 아주 적다. 그러므로 다이아몬드의 한계효용은 아주 높다. 이게 물이 필수 재화지만 값이 싸고, 다이아몬드는 필수품이 아닌데도 값이 비싼 이유다. ‘다이아몬드와 물의 역설’은 경제학의 아버지로 불리는 애덤 스미스가 ‘국부론’에서 제기한 문제로 ‘스미스의 역설’이라고도 불린다.

  • 핵치환기술

    체세포에서 핵을 추출한 후 이미 핵이 제거된 난자에 넣어주는 것. 사실상 환자 체세포를 복...

  • 화이트리스팅[whitelisting]

    사용자에게 MS 오피스 프로그램이나 어도비 아크로뱃처럼 출처가 확실하고 신뢰할 수 있는 파...

  • 학습효과[studying effect]

    특정한 작업을 여러번 반복함으로써 더욱 숙달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 호모스펙타쿠스[Homo-SPECtacus]

    '생각하는 인간'을 뜻하는 `호모사피엔스'에 '자격'을 뜯하는 '스펙(specificat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