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임금의 하방경직성

[downward rigidity]

한 번 올라간 임금이 다시 떨어지지 않는 속성을 말한다. 임금은 기본적으로 노동의 수요와 공급이 일치하는 수준에서 결정된다. 노동에 대한 수요는 노동의 한계생산가치에 따라 결정되며, 노동시장이 균형상태라면 임금(보수)은 노동이 생산해낸 한계생산물의 가치에 해당하는 만큼 받게 된다. 하지만 현실 세계에서 임금은 한 노동자가 생산해낸 한계생산물의 가치에 따라 유연하게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게 아니라 한 번 올라가면 다시 떨어지지 않는 속성을 갖고 있다. 임금이 하방 경직성을 나타내는 이유는 △강력한 노조의 존재 △%

  • 우회상장[backdoor listing]

    장외기업이 상장심사나 공모주 청약 등의 절차를 밟지 않고 상장기업과의 합병, 포괄적 주식교...

  • 열연코일[hot coil]

    슬래브를 가열해 두께가 얇은 코일로 만드는 과정이 열간압연이며 이를 통해 생산된 것이 중간...

  • 위탁가공무역[consignment processing trade]

    해외에 진출한 국내기업의 현지법인이 생산 가공한 물품 또는 제3국 기업에 위탁하여 같은 나...

  • 에너지관리시스템[Energy Management System, EMS]

    에너지효율 향상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관리체제를 일정한 절차및 기법에 따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