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임금의 하방경직성

[downward rigidity]

한 번 올라간 임금이 다시 떨어지지 않는 속성을 말한다. 임금은 기본적으로 노동의 수요와 공급이 일치하는 수준에서 결정된다. 노동에 대한 수요는 노동의 한계생산가치에 따라 결정되며, 노동시장이 균형상태라면 임금(보수)은 노동이 생산해낸 한계생산물의 가치에 해당하는 만큼 받게 된다. 하지만 현실 세계에서 임금은 한 노동자가 생산해낸 한계생산물의 가치에 따라 유연하게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게 아니라 한 번 올라가면 다시 떨어지지 않는 속성을 갖고 있다. 임금이 하방 경직성을 나타내는 이유는 △강력한 노조의 존재 △%

  • 인사청문회

    대통령이 임명하는 고위 공직자를 대상으로 국회가 국정수행 능력과 자질 등을 검증하는 것으로...

  • 우선주[preferred stock]

    배당가능한 이익이 발생했을 때나 잔여 재산이 분배될 때 보통주에 우선해 소정의 배당이나 분...

  • 이원집정부제[二元執政府制]

    대통령제와 의원내각제를 혼합한 권력구조. 국민이 뽑는 대통령은 외교·통일·국방 등 외치를 ...

  • 오션3

    세계3위 해운 선사인 프랑스의 CMA-CGM, 세계7위 선사인 중국의 CSCL 세계 19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