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임금의 하방경직성

[downward rigidity]

한 번 올라간 임금이 다시 떨어지지 않는 속성을 말한다. 임금은 기본적으로 노동의 수요와 공급이 일치하는 수준에서 결정된다. 노동에 대한 수요는 노동의 한계생산가치에 따라 결정되며, 노동시장이 균형상태라면 임금(보수)은 노동이 생산해낸 한계생산물의 가치에 해당하는 만큼 받게 된다. 하지만 현실 세계에서 임금은 한 노동자가 생산해낸 한계생산물의 가치에 따라 유연하게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게 아니라 한 번 올라가면 다시 떨어지지 않는 속성을 갖고 있다. 임금이 하방 경직성을 나타내는 이유는 △강력한 노조의 존재 △%

  • 열수력종합효과실험

    고온 고압으로 가동되는 원자로의 냉각 성능을 결정짓는 냉각재의 움직임과 열 전달현상을 점검...

  • 오팔족[old people with active life, OPAL]

    오팔(OPAL)은 'old people with active life(활기찬 생활을 하는 ...

  • 인수금융

    인수합병(M&A) 과정에 필요한 자금을 대출하는 업무. 2013년 종합금융투자사업자 제도가...

  • 양성자 치료

    방사선을 이용한 암 치료법이다. 원통형 가속장치인 사이클로트론(Cyclotron)을 이용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