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임금의 하방경직성

[downward rigidity]

한 번 올라간 임금이 다시 떨어지지 않는 속성을 말한다. 임금은 기본적으로 노동의 수요와 공급이 일치하는 수준에서 결정된다. 노동에 대한 수요는 노동의 한계생산가치에 따라 결정되며, 노동시장이 균형상태라면 임금(보수)은 노동이 생산해낸 한계생산물의 가치에 해당하는 만큼 받게 된다. 하지만 현실 세계에서 임금은 한 노동자가 생산해낸 한계생산물의 가치에 따라 유연하게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게 아니라 한 번 올라가면 다시 떨어지지 않는 속성을 갖고 있다. 임금이 하방 경직성을 나타내는 이유는 △강력한 노조의 존재 △%

  • 임금의 생계이론[subsistence theory of wages]

    임금이 오랫동안 생계유지 수준 이하로 떨어질 수 없다는 경제적 가정. 이 가정은 그 수준 ...

  • 일반은행[commercial bank]

    구미 선진국에서 금융기관의 중추를 이루는 것은 상업은행인데 우리나라에서 이에 해당하는 금융...

  • 완전고용[full employment]

    일을 할 의사와 능력을 갖고 취직을 희망하는 자가 원칙적으로 전부 고용되는 상황을 말한다....

  • 인포데믹[infodemic]

    정보라는 뜻의 information과 전염병을 뜻하는 epidemic의 합성어. SNS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