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임금의 하방경직성

[downward rigidity]

한 번 올라간 임금이 다시 떨어지지 않는 속성을 말한다. 임금은 기본적으로 노동의 수요와 공급이 일치하는 수준에서 결정된다. 노동에 대한 수요는 노동의 한계생산가치에 따라 결정되며, 노동시장이 균형상태라면 임금(보수)은 노동이 생산해낸 한계생산물의 가치에 해당하는 만큼 받게 된다. 하지만 현실 세계에서 임금은 한 노동자가 생산해낸 한계생산물의 가치에 따라 유연하게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게 아니라 한 번 올라가면 다시 떨어지지 않는 속성을 갖고 있다. 임금이 하방 경직성을 나타내는 이유는 △강력한 노조의 존재 △%

  • 에코백[ecobag]

    천연 면 같은 자연에서 분해되는 재료로 만드는 친환경 가방을 말한다. 동물가죽과 일회용품 ...

  • 아빠의 달

    남성 육아휴직을 촉진하는 사업으로 같은 자녀에 대해 부모가 순차적으로 육아휴직을 쓰면 육아...

  • 안정성 비율[stability ratios]

    기업의 장기지급능력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비율로 레버리지 비율(leverage ratios...

  • 예비시험제도

    로스쿨을 졸업하지 않더라도 변호사 시험을 치를 수 있는 제도를 말한다. 일본에서는 일반인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