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분사경영

[break up]

한 기업에 속한 특정 사업부문 내지 조직의 일부를 떼어내 법인격을 달리하는 독립회사로 분리시키고 독립된 자회사(관련회사, 별회사)간의 경쟁과 협력에 의해 기업 그룹 전체의 성장을 도모하는 것을 말한다.

몇년 전 세계의 초우량기업 IBM도 시대상황의 변화에 따른 업적 저하를 극복하기 위하여 컴퓨터 주변기기 사업부를 별도회사로 독립시켜 본체부문과 따로 경영하게 하였다. 분사경영의 장점으로는 조직을 작게 함으로써 환경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으며 자율경영, 책임경영의 긍정적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단점으로는 분사화를 채택함으로써 사업을 하나의 단위조직에서 전개하는 것과 같은 통일된 힘이 결여되기 쉽고 본사의 자회사에 대한 통제와 조정능력이 약화된다는 점을 들 수 있다.

  • 블랙리스트 제도;단말기 자급제[black list system]

    휴대폰 고유번호가 통신사에 등록돼 있는 단말기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방식을 탈피, 어떤 ...

  • 부동산개발신탁

    부동산신탁회사가 부동산소유주에게 위임받은 부동산에 대해 개발계획작성부터 자금조달, 분양, ...

  • 부외거래[off balance sheet engagement]

    금융기관의 회계장부에 기록하지 않은 거래를 말한다.예를 들어 돈을 맡긴 고객에게 입금표시가...

  • 비실명채권

    채권은 보유기간별 과세가 원칙이므로 채권매매시 거래인의 인적사항을 매매한 증권사에 알려 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