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경제심리지수

[economic sentiment index, ESI]

기업과 소비자 모두를 포함해 민간이 경제 상황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를 종합적으로 파악하는 지표. 2019년 9월 경기종합지수 개편전에는 `소비자 기대지수'라는 명칭으로 불렸다. 경제와 관련된 일종의 성적표라고 할 수 있는 셈이다. 기업경기실사지수(BSI)와 소비자동향지수(CSI)를 합성한 종합심리지수이다. 한국은행이 조사와 분석을 거쳐 2012년 6월 부터 매달 마지막날 발표하고 있다.

경제심리지수는 100을 기준으로 하는 '상대 지수'이다. 100보다 높으면 소비자와 기업이 경제 상황을 이전보다 나아졌다고, 낮으면 그렇지 않다고 여긴다는 뜻이다.

2019년 평균 경제심리지수는 91.70로 관측 이래 최저치를 기록했다. 2018년(95.92)보다 4.22 낮아졌다. 이는 미중 무역전쟁, 일본과의 무역 갈등 등 대내외 이슈로 하락한 코스피 지수와 강도 높은 부동산 규제 정책, 크게 두 가지에 경제 심리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관련어

  • 경품

    경품이란 자기가 공급하는 상품이나 용역의 거래에 부수하거나 부수하지 않더라도 광고 등을 통...

  • 기업취약지수[Corporative Vulnerability Index, CVI]

    국제통화기금(IMF)이 미국 서브프라임 사태 이후 내놓은 지수로 경기상황을 예측하는 잣대로...

  • 간접비[overhead cost, indirect cost]

    매매상품 또는 서비스와 직접 관련되지 않은 기업경영시 발생되는 간접비용. 근로자임금이나 생...

  • 군복무 가산점제

    전역 군인이 공직이나 공기업, 일정 규모 이상의 민간 기업 채용시험에 응시할 경우 필기시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