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한계대체율

[marginal rate of substitution]

한계대체율이란 A와 B의 두 가지 재화가 있다고 할 때, B재화 한 단위를 얻기 위해 포기해야 하는 A재화의 양(A재화의 감소량/B재화 한 단위)이다. A,B 두 재화 중에서 A재화를 더 많이 가지고 있다면 한계대체율이 1보다 크다. 즉 B재화 한 단위를 얻으면서 A재화 여러 단위를 포기한다는 얘기다. A재화와 B재화를 같은 양으로 가지고 있다면 한계대체율은 1이다. 이를 달리 말하면 무차별곡선을 따라서 아래쪽으로 이동할 때 한계대체율이 감소한다.

  • 한계사업

    경제여건변화로 경쟁력을 잃어 성장과 채산성 확보에 어려움을 겪는 사업을 뜻한다. 임금상승,...

  • 흡입성 먼지

    지름이 10㎛(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분의 1m)보다 작은 '부유먼지'와 지름이 2....

  • 한국회계기준원

    국내 기업회계기준을 제정 · 개정 · 해석하고, 회계 및 외부감사제도와 관련된 주요 제도 ...

  • 회사기회유용[usurpation of corporate opportunity]

    경영진, 지배주주 등이 회사에 이익이 될 수 있는 사업기회를 봉쇄하고 자신이 대신 이익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