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한계대체율

[marginal rate of substitution]

한계대체율이란 A와 B의 두 가지 재화가 있다고 할 때, B재화 한 단위를 얻기 위해 포기해야 하는 A재화의 양(A재화의 감소량/B재화 한 단위)이다. A,B 두 재화 중에서 A재화를 더 많이 가지고 있다면 한계대체율이 1보다 크다. 즉 B재화 한 단위를 얻으면서 A재화 여러 단위를 포기한다는 얘기다. A재화와 B재화를 같은 양으로 가지고 있다면 한계대체율은 1이다. 이를 달리 말하면 무차별곡선을 따라서 아래쪽으로 이동할 때 한계대체율이 감소한다.

  • 헬륨[Hellum]

    헬륨은 원자번호 2번의 원소로 주기율표에서 18족, 즉 비활성 기체족에 속한다. 다른 비활...

  • 한국종단송유관[Trans Korea Pipeline, TKP]

    주한미군이 1968년부터 1970년까지 유류 수송용으로 포항에서 의정부까지 총연장 468k...

  • 하드포크[hard fork]

    기존 블록체인과 호환되지 않는 새로운 블록체인에서 다른 종류의 가상화폐를 만드는 것을 말한...

  • 화학물질의 등록 및 평가 등에 관한 법률’의

    모든 신규 화학물질과 연간 1t 이상 제조·수입·판매하는 기존 화학물질을 매년 당국에 보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