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제품수명주기론

[product life-cycle theory]

우리가 생산해서 쓰는 상품들도 생물처럼 수명이 있다는 이론이다. 이 이론에 따르면 상품은 도입(introduction), 성장(growth), 성숙(maturity), 그리고 쇠퇴(decline)의 과정을 겪는다는 것이다

하나의 제품은 사회적 수요와 기술수준에 따라 아이디어가 탄생하고 상품으로 구체화되는 도입단계에서 상품으로서의 경제적 가치가 확인되면 시장 수요가 늘면서 성장의 단계로 접어든다. 이후 기업의 생산은 늘고 이윤도 점차 커지게 된다. 그렇게 되면 시장에 참여하는 기업들이 하나둘씩 증가하면서 경쟁이 치열해지고 마침내 시장 참여 기업들의 매출이 점차 감소하는 단계로 이행하는 성숙단계를 거친다. 성숙단계에서 생산자들은 제품의 수명주기를 예측하고 이에 대한 대비책을 강구해야 한다. 그리고 시장에서의 반응이 냉담해지면 판매와 이윤이 급속히 감소하는 쇠퇴의 단계를 맞이하게 되는 것이다.

제품수명주기론은 경영학에서 단계별로 변화하는 수요에 대응해 어떠한 마케팅전략을 강구할 것인가와 관련하여 많이 알려져 온 모형이지만, 버논이라는 경제학자가 국제무역의 패턴을 설명하기 위해 응용하기도 했다.

  • 증권담보기간대출[Term Securities Loan Facility, TSLF]

    2008년 3월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 (FRB)가 서브프라임사태로 야기된 신용경색을 해소...

  • 주식형 연금저축펀드

    집합투자재산의 60% 이상을 주식에 투자하는 연금저축펀드

  • 재무구조[financial structure]

    장기부채와 소유주지분뿐만 아니라 외상매출금과 단기부채와 같은 자산이 자본으로 조달되어지는 ...

  • 존스법[Jones Act]

    미국 해양 및 조선산업을 보호하고 국가 안보를 강화하기 위해 1920년에 제정된 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