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집단지성

[collective intelligence]

각각의 개인들이 협력이나 경쟁을 통해 공동의 지적결과물을 만들어 낼 수 있는 집단적 능력. 집단지성은 보통 사람들도 이성적 판단을 내릴 수 있는 존재이며 집단은 개인이 가진 능력의 합이나 똑똑한 소수의 전문가보다 나은 판단을 할 수 있다고 가정한다.

집단지성이 발휘되기 위해서는 △집단 구성이 다양해야 하고 △권한이 분산돼야 하며 △구성원이 상호 독립적이어야 한다. 또 구성원의 의견이 정리되고 모아져 하나의 결정을 만들어 낼 수 있는 방법론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사람들이 자신의 지식을 올리고 이후 다른 사람이 틀린 점을 교정해 주는 식으로 백과사전을 만들어 가는 ''위키피디아''나 회원들이 서로 질문하고 답을 해 주는 네이버의 ''지식iN'' 등은 집단지성의 대표적 사례다.

  • 장부가[face value]

    말 그대로 회사 장부상에 등록된 가격을 말한다. 현재 가격 또는 거래가 되고있는 가격인 시...

  • 잭업리그[jack-up rig]

    대륙붕 유전개발 시추설비. 철제 기둥을 바다 밑으로 내려 해저면에 선체를 고정시킨 뒤 해수...

  • 자주개발률

    우리나라 정부나 민간기업이 국내외에서 직접 개발, 확보한 석유·가스 생산량을 국내 소비량으...

  • 재촌자경

    비사업용 토지에 대한 양도세 중과배제 대상에 새로 추가되는 ''8년 이상 재촌자경한 직계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