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스토캐스틱

[Stochastic, Stochastic Oscillator]

주가는 많이 올랐다 싶으며 내리고 많이 내렸다 싶으면 오르는 파동적 성격을 가지고 있다.

스토캐스틱은, 최근 N일간의 최고가와 최저가의 범위 내에서 현재 가격의 위치를 표시할때, 매수세가 매도세보다 강할 때는 그 위치가 높게 형성되고, 매도세가 매수세보다 강할 때는 그 위치가 낮게 형성된다는 것을 이용한 것이다.

따라서 스토캐스틱의 값은 0%와 100% 사이에서 움직이게 되며, 값이 높을수록 매수세가 강하다는 것을 의미하고, 값이 낮을수록 매도세가 강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스토캐스틱은 추세전환을 파악하는 데 유용한 지표이지만, 단독으로 사용하기보다는 다른 지표와 함께 사용하여 종합적으로 판단하는 것이 좋다. 이는 스토캐스틱이 단기적인 가격 변동에 민감하기 때문이다.


조지 래인(George Lane)이란 사람이 만든 것으로 원래는 채권시장에서 사용되기 위해 만들어진 것으로 주식시장에서도 효과를 발휘하면서 유명해진 지표이다.

  • 상승장악형[Bullish Engulfing]

    캔들챠트의 상승반전형중 하나. 형태상으로 두 번째 봉에 의해 첫 번째 봉이 감싸이는 것을 ...

  • 스펙시트[Spexit]

    스페인(Spain)과 탈출(exit)의 합성어로 스페인의 유로존 탈퇴를 의미한다. 마켓워치...

  • 세외수입[nontax receipts]

    국가, 지방단체의 조세와 공채를 제외한 수입. 국가의 세외수입의 내역은 수입자 부담금(공공...

  • 사이먼 테일

    영국 케임브리지대 경제학과 교수로 세계적 에너지 경제학자이다. 바클레이즈와 JP모간 등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