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인사청문회

 

대통령이 임명하는 고위 공직자를 대상으로 국회가 국정수행 능력과 자질 등을 검증하는 것으로, 인사청문회법 제정을 통해 2000년 6월 도입됐다.

대법원장, 헌법재판소장, 국무총리, 감사원장, 대법관과 국회에서 선출하는 헌법재판소 재판관 및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위원의 경우 정부가 임명동의안을 제출하면 국회는 인사청문회를 거쳐 20일 이내에 본회의 표결로 처리하게 된다.

국가정보원장, 검찰총장, 국세청장, 경찰청장의 경우 국회는 청문회만 열 뿐 표결은 하지 않는다.

국무위원(장관)의 경우 국회 소관 상임위가 청문회를 마친 뒤 내정자의 적격 여부에 대한 의견을 담은 경과보고서를 내지만 대통령이 이를 지켜야 할 의무는 없다.

  • 인도태평양경제협의체[Indo-Pacific Economic Framework, IPEF]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중국의 경제적 영향력 확대를 억제하기 위해 미국 주도로 설립한 경제안...

  • 이퓨얼[electro fuel, e-fuel]

    재생에너지 전기로 물을 전기 분해해 수소를 얻은 뒤 이를 이산화탄소나 질소 등과 혼합해 만...

  • 연금저축

    개인이 노후를 대비하여 가입하는 상품. 연금저축은 운용기관에 따라 연금저축신탁(은...

  • 이중인증[2-factor authentification]

    기존의 아이디 및 비밀번호에 의한 인증 외에 일회용비밀번호(OTP)나 보안토큰 (HS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