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청문회
대통령이 임명하는 고위 공직자를 대상으로 국회가 국정수행 능력과 자질 등을 검증하는 것으로, 인사청문회법 제정을 통해 2000년 6월 도입됐다.
대법원장, 헌법재판소장, 국무총리, 감사원장, 대법관과 국회에서 선출하는 헌법재판소 재판관 및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위원의 경우 정부가 임명동의안을 제출하면 국회는 인사청문회를 거쳐 20일 이내에 본회의 표결로 처리하게 된다.
국가정보원장, 검찰총장, 국세청장, 경찰청장의 경우 국회는 청문회만 열 뿐 표결은 하지 않는다.
국무위원(장관)의 경우 국회 소관 상임위가 청문회를 마친 뒤 내정자의 적격 여부에 대한 의견을 담은 경과보고서를 내지만 대통령이 이를 지켜야 할 의무는 없다.
-
어음[bill]
상품구매시 구매자가 발행하는 일정한 시기에 일정한 장소에서 일정 금액을 지급하겠다는 일정 ...
-
위생 및 식물위생 조치에 관한 협정[Agreement on the application of sanitary and phytosanitary measures, SPS협정(SPS Agreement)]
WTO 회원국간에 식품위생 및 동·식물의 검역기준이나 절차가 무역규제수단으로 이용되는 것을...
-
유럽예탁증서[European Depositary Receipts, EDR]
유럽, 특히 런던의 은행이 외국 증권의 예탁을 받고 이에 따라 발행하는 증권으로 런던을 중...
-
엑시노스9
삼성전자가 2017년 양산할 예정인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이 제품은 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