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역전환사채

[reverse convertible debenture]

증권 발행 당시에 정한 사유가 발생하면 주식으로 자동 전환되는 채권을 말한다.

예를 들어 은행의 국제결제은행 (BIS)기준 자기자본비율이 일정순준 밑으로 떨어지는 등 재무구조가 악화 되면 자동적으로 주식으로 전환되는 채권을 말한다.

미국 플로리다 대학의 플래너리 교수가 지난 2005년에 제시한 개념이다. 채권이 주식으로 전환되면 자본금이 늘어나는 효과가 있다. 은행으로서는 여타 채권에 비해 높은 금리를 지불하는 대신 위기상황에 대비한 안전장치를 갖는 셈이다.

관련어

  • 인공지능진보협회[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AAAI]

    인공지능진보협회(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Artifi...

  • 양손잡이 조직[ambidextrous organization]

    양손잡이 조직은 한 손은 기존 사업 중심으로 안정성을 추구하면서 또 다른 한 손으로는 스타...

  • 요소 쿼터제[urea quota system]

    중국이 2024부터 해외로 수출하는 요소의 양을 제한하는 정책. 요소는 전 세계적으로...

  • 이상금융거래 탐지시스템[fraud detection system, FDS]

    전자금융거래 시 단말기 정보와 접속 정보, 거래 정보 등을 수집하고 분석해 의심스러운 거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