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피크 오일

[peak oil]

석유 생산이 최고점에 이른후 감소하기 시작하는 시점을 말한다.

석유생산 정점이후에는 급격한 감소가 나타나는데 이는 신규유전발견의 부진, 생산시설에 대한 투자의 감소, 전쟁 등의 요인에 기인한다.

피크 오일 이론은 미국 지질학자 M.킹 허버트가 1956년 처음 제시했다. 그는 미국 석유 생산량이 1970년대 중반에 정점에 도달한 후 감소하기 시작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실제로 미국 석유 생산량은 1970년대 후반에 정점에 도달한 후 감소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기술 발전과 새로운 석유 매장량 발견으로 인해 세계 석유 생산량은 2000년대 초반까지 증가했다.

하지만 일부 전문가들은 세계 석유 생산량도 곧 정점에 도달할 것이라고 주장한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2023년 보고서에서 세계 석유 수요가 2030년에 정점에 도달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피크 오일이 언제 발생할지는 불확실하지만, 피크 오일이 발생하면 에너지 가격 상승, 경제 성장 둔화, 사회 불안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 판매자 시장[seller’s market]

    가능한 공급보다 증권이나 제품에 대한 수요가 더 많은 시장. 그 결과로 가격은 상승하며 판...

  • 품질시스템평가 프로그램[Quality System Assessment, QSA]

    미 농축산물 업체가 생산관리 매뉴얼 등 자체 품질관리시스템 등을 마련하고 이를 직접 운영하...

  • 피케팅[picketing]

    노조나 정치단체의 논쟁을 알리거나 지지확보를 위해 플래카드를 들고하는 행위. 법에 저촉이 ...

  • 플로팅 건축

    물 위에 뜨는 부유식 구조물 위에 건물을 짓는 건축 방식이다. 정유회사들이 운영하는 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