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가계저축률

 

세금과 이자 등을 제외하고 개인이 쓸 수 있는 처분가능소득 중 소비지출을 제한 나머지의 비율.



일반적으로 플러스를 기록하지만 신용을 통한 차입이나 예금인출, 투자자산의 매각 등을 통해 가처분소득을 상회하는 지출을 하면 마이너스가 되는 경우도 있다.

한국의 가계저축률은 고도성장기였던 1975년 7.5%에서 1988년 25.9%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이후 떨어지기 시작해 2000년대 들어 금리하락과 함께 10% 미만으로 낮아졌다가 2021년 현재 11.6%를 기록했다.

관련어

  • 공공 마이데이터

    행정 기관이나 공공 기관이 보유한 개인정보로 정보주체가 자신의 데이터를 본인이나 또는 본인...

  • 경기종합지수 순환변동치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란 동행지수에서 과거의 추세를 제거해 현재 경기의 순환만을 보는 것이다....

  • 기교재판

    사실심리와 증거조사 결과에 따라 판결의 결론을 내리는 것이 아니고, 판사가 맘 속에 이미 ...

  • 금융채권[financial bond]

    은행, 증권사, 투자금융회사 등 금융기관이 발행하는 채권을 말한다.금융채권으로는 한국은행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