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립스틱 효과

[lipstick effect]

경기가 불황일 때 립스틱 같이 낮은 가격으로 사치를 즐기기에 적당한 저가 제품의 매출이 증가하는 현상. 저가이지만 그럭저럭 소비자의 효용을 만족시켜 줄 수 있는 상품의 경우 호황기보다는 불황일 때 오히려 더 잘 팔리는 현상을 말한다. 값비싼 화장품들보다는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하면서도 화장했다는 효과가 잘 드러나는 립스틱이 여성들 사이에서 더 잘 팔린다는 데서 나온 경제용어이다.

립스틱 효과와 비슷한 용어로 불황일수록 미니스커트가 유행한다는 ‘미니스커트 효과’도 있다. 불황일 때는 가라앉은 기분을 띄우기 위해 미니스커트를 입는다고 합니다. 무거운 사회적 분위기를 환기하기 위해 미니스커트를 입는다는 것이다. 하지만 미니스커트 효과도 한계가 있다.
우리나라에서 미니스커트가 유행한 것이 1995년인데 외환위기를 겪은 1997년에는 치마가 길어졌다.

  • 랩톱[lap top]

    무릎에 올려놓고 사용할 수 있다고 하여 랩톱이라고 이름 붙여진 이 소형 컴퓨터는 카세트 플...

  • 로마클럽[The Club of Rome]

    저명 학자와 기업가, 유력 정치인 등 지도자들이 참여해 인류와 지구의 미래에 대해 연구하는...

  • 리스크 프리미엄[risk premium]

    투자자가 위험 부담을 감수하는데 따른 수익

  • 림보세대[Generation Limbo]

    림보세대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전 세계적으로 발생한 사회적 현상으로, 대학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