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대차대조표 불황

[balance sheet recession]

가계 빚이 많아 정부가 경기 부양책을 내놓아도 소비나 투자로 이어지지 못하는 현상을 말한다. 이는 자산가격의 하락으로 기업이나 가계의 부채 부담이 커졌을 경우 경제 주체는 차입금을 최우선적으로 상환하기 때문이다.

이 개념은‘잃어버린 10년’으로 불리는 1990년대 일본의 장기 불황을 설명하는 경제학 이론에서 나온 것으로 리처드 쿠 일본 노무라종합연구소 수석 연구원이 이 용어를 만들고 이론을 정립했다.

그 이후 세계 각국의 불황을 설명하는 일반 용어가 됐다. 미국에선 벤 버냉키 전 미국 중앙은행(Fed) 의장이 2007년 금융위기 이후 몇 차례 언급하면서 주목받았다.

  • 도급

    당사자 일방(수급인)이 어느 일을 완성할 것을 약정하고 원청을 준 쪽(도급인)이 그 결과에...

  • 동아시아정상회의[East Asia Summit, EAS]

    동남아국가연합 (ASEAN) 10개국과 한국, 중국, 일본, 인도, 호주, 뉴질랜드 등 1...

  • 단독세대주

    세대 구성원이 1명인 가구의 세대주를 말한다.

  • 도시개발법 개정안

    민관 합동 도시개발사업에서 민간 참여자의 이익상한을 10%이내에서 정할 수 있도록 한 법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