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개시증거금

 

선물거래는 현재의 시세를 미래 특정 시점에 결제하기로 약속하는 계약이므로 최종결제일에 당해 선물가격이 오르거나 떨어졌을 경우에는 매도자가 매도를 거부하거나 매수자가 매수를 포기할 가능성도 있다. 따라서 이같은 결제불이행의 위험을 사전에 제거하기 위해 고객이 신규로 매매거래를 위탁하는 경우, 위탁금액의 15% 이상을 증거금으로 징수하게 되는데 이를 개시증거금이라 한다.

한편 매일매일의 선물계약을 평가하여 그 평가금액에 개시증거금이 일정률(유지증거금률, 10%) 미만으로 떨어질 경우에는 개시증거금 수준 이상이 되도록 추가로 유지증거금을 징수하도록 하는 일일정산제도를 갖추고 있어 실제 결제불이행의 위험은 없다고 할 수 있다.

  • 금융결제원[Korea Financial Telecommunications & Clearings Institute, KFTC]

    원활한 자금결제와 정보유통을 목적으로 설립된 지급결제전문기간. 금융전산망 구축을 위하여 1...

  • 과학 기반 감축목표 이니셔티브[Science Based Targets initiative, SBTi]

    탄소정보공개프로젝트(CDP), UN 글로벌 콤팩트(UNGC), 세계자원연구소(WRI), 세...

  • 교통사고처리 특례법

    1982년 교통사고로 인한 피해를 신속하게 처리하기 위해 제정됐다. 신호위반, 중앙선침범,...

  • 기업부족자금보전율

    기업의 자금부족을 개인의 잉여자금이 보충해준 비율. 즉 기업의 모자라는 투자자금을 개인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