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주당 평균 취업시간

 

1주일간 실제로 일한 시간을 뜻한다. 주당 평균 취업시간은 1980년대에는 55시간 안팎이었고 1990년대 들어서면서 평균 취업시간은 50시간대 초반으로 줄어들었고 이같은 감소추세는 2000년대 들어 더욱 심화됐다. 2001년 50.4시간에서 2002년에는 49.8시간으로 사상 처음 40시간대에 진입했다. 이후 2003년 49.1시간, 2004년 48.7시간, 2005년 48.1시간, 2006년 47.9시간, 2007년 47.1시간으로 매년 줄어들고 있다. 이같은 감소 추세는 2004년 이후 단계적으로 주5일 근무제가 확대 시행된 데 따른 영향이 큰 것으로 풀이된다.

  • 존경과세

    2017년 대기업과 고소득자 대상 증세를 추진하면서 정부와 여당이 사용한 수식어. 여당은...

  • 주가드[Jugaad]

    1. 인도에서 주변에 굴러다니는 재료를 끌어모아 만든 엉성한 차를 말한다. 낡은 지프에서 ...

  • 조세전가 및 조세귀착

    현실에서의 조세의무는 법적으로 정해진 부담자와 실질적인 부담자가 다른 경우가 많다. 즉, ...

  • 정보사회세계정상회의[World Summit on the Information Society, WSIS]

    날로 커지는 국가간 정보격차 해소 등 정보사회의 당면한 현안을 전세계 인류가 공동의 노력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