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필터 이론

 

주식의 투자가치에 영향을 주는 재료인 성장 가능성, 배당정책, 수익성, 증자와감자, 주가상승 등의 재료별 필터를 채택하여 주식을 사고파는 이론. 일정 기간 동안 주가의최저점에서 일정 비율 올랐을 때 매입하고 일정 비율 내렸을 때 매각하는 투자이론이다. 예를 들어 어떤 주식의 매매를 결정하는 변동비율(필터)을 8%로 정했다면 그 주식이 최저점에서 8% 올랐을 때 매입, 최고점에서 8% 내리면 매각하는 식이다. 그러나 이 방법은 필터크기의 객관화, 최고점과 최저점의 파악 등에서 문제가 있는 이론이다.

  • 팩션[faction]

    사실을 팩트(fact)와 허구를 뜻하는 픽션(fiction)을 합성한 신조어. 역사적 사실...

  • 핏 포 55[Fit for 55]

    유럽연합 집행위원회가 2021년 7월14일 발표한 탄소배출 감축 계획안. 유럽외 지역에서 ...

  • 플래시 크래시[Flash Crash]

    "갑작스러운 붕괴"란 뜻으로 알고리즘 거래에서 컴퓨터 프로그램의 매물폭탄으로 주가가 급락하...

  • 포괄적핵실험금지조약[Comprehensive Nuclear-Test-Ban Treaty, CTBT]

    CTBT는 모든 종류의 핵 실험을 금지하는 최초의 국제 조약으로 1996년에 유엔 총회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