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통화 스와프

[currency swap]

1)자국의 통화를 다른 통화와 미리 약정한 환율에 따라 일정 시점에 서로 교환하는 외환거래다. 통화스와프가 체결된 국가간에 외환이 필요할 경우 자국 통화를 맡기고 상대국 통화 또는 달러를 빌려올 수 있다. 외환위기 등 위기 상황에 대응할 수 있는 수단으로 이용된다.

2)조달비용이 싼 통화를 교환하는 거래로 1981년 처음 선보였다. 세계은행이 발행한 유로 달러 채권과 IBM이 발행한 스위스 프랑 및 독일 마르크 채권을 맞바꾼 게 통화 스와프의 효시가 됐다. 1980년대 후반부터 이같은 거래가 급증했다. 통화 스와프에는 환율변동에 따른 위험을 피하기 위해 특정 통화의 일정 금액을 현물환이나 선물환으로 팔면서(매입) 동시에 결제일이 다른 동일 금액의 선물환을 사는(매각) 계약도 있다. 현물환 대 선물환, 선물환 대 선물환 스와프가 이뤄질 수 있다.

관련어

  • 태프트 하틀리 법[Taft Hartley Act]

    1947년에 제정된 미국의 노사관계법. 이 법은 노동조합의 활동을 제한하고 단결권에 저항할...

  • 투기[speculation]

    짧은 기간 동안에 가격이 폭등할 것이라고 예견하고서 매수하는 행위를 말한다. 투기를 위한 ...

  • 특별자산펀드

    펀드재산의 50% 이상을 예술품, 선박, 지하철, 유전, 광산, 지식재산권, 탄소배출권 등...

  • 탐사개발비용[intangible drilling and development cost]

    탐방, 매몰오일과 가스 시추공의 개발에 필요한 핵심분석, 분쇄, 유전맥 탐사, 기술, 연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