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이익비준방식

[comparable profit method]

이익비준방식은 신고된 외국기업의 이익률이 미국 내 동종업체의 평균이익률보다 현저히 낮을 경우 평균이익률을 과세기준으로 삼는 방식이다. 즉, 미국에서 영업하고 있는 외국기업들의 이전가격을 산정할 때 미국 내 동종업체의 평균영업이익률을 기준으로 이전가격의 적정여부를 판단해 세금을 물리는 방식이다. 이익비준방식은 미 국세청과 외국기업간 조세마찰의 불씨였는데 이것은 비교가능기업이 명확하지 않아서다.

따라서 미 국세청은 얼마든지 자의적으로 비교가능기업을 선정, 이 기업의 이익률을 기준으로 외국기업들의 이익을 추산해 세금을 매길 수 있다. 이 경우 최악의 상황에서는 미국에 있는 어느 외국기업체가 이익을 전혀 내지 못했는데도 다른 동종기업의 이익률에 근거한 세금을 납부해야 한다. 1980년대 중반 대우의 미국 현지법인인 대우 아메리카가 이 방식에 걸려 4천만 달러의 세금을 추징당한 것이 좋은 예이다.

  • 액체냉각[liquid cooling]

    기기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액체를 이용해 제거하는 냉각 방식. 공랭식보다 냉각 효...

  • 용역근로

    용역업체에 고용되어 이 업체와 용역계약을 맺은 다른 업체에서 근무하는 형태. 청소나 경비 ...

  • 예상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

    국채 금리 등을 이용해 산출하는 장래의 물가 수준에 대한 예측치다. 한 나라의 경제성장률 ...

  • 아이맥스[Eye-Maximum, I-Max]

    우리 눈이 볼 수 있는 최대한의 영상이란 의미로 만들어진 용어이다. 아이맥스 영화관은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