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평균물가목표제

[average inflation target, AIT]

미국 중앙은행(Fed)이 코로나19로 위기에 빠진 경제를 부양하기 위해 2020년 10월 도입한 정책으로 물가 상승률이 평균 2%를 넘어도 일정기간 용인하겠다는 것을 주내용으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월가에서는 인플레이션을 예상하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Fed가 최소 5년간 제로금리 정책을 이어갈 것으로 예고한 가운데 재정 부양책도 지속될 것으로 관측되고 있는 탓이다.

*인플레이션이 주가에 미치는 영향
골드만삭스에 따르면 인플레이션이 주가에 미치는 위험은 적은 편이다. 역사적으로 주가가 가장 좋았을 때는 인플레가 약 2% 수준일 때다. 이러면 증시에 문제가 될 수 있는 Fed의 금리 인상을 촉발하지 않으면서도, 기업의 매출과 이익을 높이는 데는 충분하다.

골드만삭스 분석에 따르면 Fed의 새로운 접근법은 일정 기간 목표(2%) 이상의 인플레이션을 명시적으로 장려하고 있다. 이게 의미하는 건 인플레이션이 주가에 역풍이 되기 전까지 상당기간 증시에 유리할 수 있다는 것이다.

  • 파파고[papago]

    네이버가 인공지능(AI)기술을 기반으로 개발한 기계번역 서비스. 2017년 7월 정식 출시...

  • 프리덤 코커스[Freedom Caucus]

    미국 공화당 내에서 가장 강경한 우익 성향의 의원들로 구성된 모임. 2015년 1월...

  • 포모사본드[formosa bond]

    대만 자본시장에서 외국 금융회사나 기관이 대만달러가 아닌 다른 국가 통화로 발행하는 채권을...

  • 파견근로제

    인력공급업체(파견사업주)가 자기가 고용한 근로자(파견근로자)를 다른 업체(사용사업주)에 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