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흑사병

[plague]

페스트균에 의해 발생하는 급성 열성 감염병이다. 페스트균에 감염된 쥐에 기생하는 벼룩이 쥐의 피를 빨아먹으면 역시 감염되고, 이 벼룩이 사람을 물면 흑사병에 걸릴 수 있다.

흑사병은 증상에 따라 림프샘 흑사병, 폐 흑사병, 패혈성 흑사병으로 나뉜다.

림프샘 흑사병은 쥐·벼룩에 의해 감염되지만, 폐 흑사병은 사람과 사람 사이에 전염된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흑사병은 14세기 중반 유럽에서 크게 유행해 당시 유럽 인구의 4분의 1에서 3분의 1에 달하는 2500만~6000만 명이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흑사병은 전염병 중 가장 단기간에 사망에 이르게 하는 병으로 불렸지만 푸른곰팡이를 배양해 얻은 페니실린이 개발되면서 치료의 길을 찾았다. 흑사병은 일반적으로 발병 초기에 항생제를 투여해 치료한다.

  • 한국형 실업부조

    저소득층 구직자에게 생계 보장과 취업 지원을 위한 급여를 주는 제도로 2020년부터 시행될...

  • 확증편향[confirmation bias]

    선입관을 뒷받침하는 근거만 수용하고, 자신에게 유리한 정보만 선택적으로 수집하는 것이다. ...

  • 화학증착기

    가스를 이온화하여 화학반응을 통해 막을 입히는 장치를 말한다.

  • 협력이익 공유제

    대기업이 중소기업과 공동 프로젝트를 추진한 뒤 이익을 나누면 정부가 세금을 감면해주는 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