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파생결합펀드

[derivative linked fund, DLF]

금리, 원자재 환율 등의 가격과 연결돼 투자 수익이 결정되는 파생결합증권(DLS)여럿을 묶어 펀드 형태로 판매한 것을 말한다.

DLF는 사전에 정한 방식으로 수익을 결정한다. 자산의 가치 변동에 따라 일정 수익을 얻을 수 있도록 설계됐다. 펀드 매니저의 운용 결과에 따라 수익이 결정되는 일반 펀드와 방식이 다르다. 내가 투자한 자산의 가격이 유지되면, 계약할 때 약속했던 수익을 보장받는 식이다.

투자한 기초자산의 가격이 일정 수준 이상 떨어지면 원금손실 구간에 진입하게 되는데 이를 녹인(Knock-in)이라고 한다.

녹인에 진입하면 원금 손실이 발생하고 경우에 따라 원금을 모두 잃을 수도 있다.

관련어

  • 패들시프트[Paddle Shift]

    운전대에서 손을 떼지 않고 변속 제어가 가능하게 만든 장치

  • 페이-퍼-게이즈[pay-per-gaze]

    2013년 8월 구글이 특허 출원한 눈동자 추적 기술. 이 기술을 활용하면 구글이 향후 내...

  • 피드백 시스템[feedback system]

    전자공학에서는 자동적 제어수단을 이용하여 기계의 운동이 가져오는 착오를 수정시키고 있는데 ...

  • 평판관리전문가

    온라인 상의 개인평판을 관리해 주며, 인터넷에 떠도는 나빠진 평판을 복구하고 관리하는 일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