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파생결합펀드

[derivative linked fund, DLF]

금리, 원자재 환율 등의 가격과 연결돼 투자 수익이 결정되는 파생결합증권(DLS)여럿을 묶어 펀드 형태로 판매한 것을 말한다.

DLF는 사전에 정한 방식으로 수익을 결정한다. 자산의 가치 변동에 따라 일정 수익을 얻을 수 있도록 설계됐다. 펀드 매니저의 운용 결과에 따라 수익이 결정되는 일반 펀드와 방식이 다르다. 내가 투자한 자산의 가격이 유지되면, 계약할 때 약속했던 수익을 보장받는 식이다.

투자한 기초자산의 가격이 일정 수준 이상 떨어지면 원금손실 구간에 진입하게 되는데 이를 녹인(Knock-in)이라고 한다.

녹인에 진입하면 원금 손실이 발생하고 경우에 따라 원금을 모두 잃을 수도 있다.

관련어

  • 패니메, 프레디맥[Fannie Mae]

    미국의 양대 국책 주택담보금융업체. 두 회사는 현재 미국 주택담보 대출의 절반가량인 5조달...

  • 페타플롭스[Petaflops]

    1페타플롭은 1초에 1천조 번의 부동 소수점 연산을 할 수 있다는 뜻이다.

  • 프롬프트[prompt]

    컴퓨터가 입력을 받아들일 준비가 되었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나타내어 주기 위해 컴퓨터 단말기...

  • 펄프스[PULPS]

    핀터레스트(Pinterest), 우버(Uber), 리프트(Lift), 팔란티어(Pal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