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플렉스

[flex]

요즘 1020 세대에게‘돈을 쓰며 과시하다’ ‘지르다’라는 뜻으로 사용되는 단어.
`구부리다’라는 뜻에서 파생해 ‘몸 좋은 사람들이 등을 구부리며 근육을 자랑하다’라는 의미로 쓰인다.
1990년 미국 힙합문화에서 ‘부나 귀중품을 과시하다’란 의미로 사용됐다. 2019년 들어 래퍼 기리보이, 염따 등이 사용하며 유행하기 시작한 뒤 음악시장을 넘어 소비시장까지 흔들고 있다. 플렉스를 목표로 돈을 모은 1020세대들이 명품 구매 시장에 뛰어들었다. 아르바이트하거나 용돈을 모아 명품을 사고,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등을 통해 플렉스하는 게 젊은이 사이에서 트렌드가 됐다. 현대

래퍼들이 사용하면서 급격히 퍼지고 있는 신조어다.

  • 플렉시큐리티[flexicurity]

    유연성(flexibility)과 안전성(security)의 합성어로 사회안전망을 통해 노동...

  • 피시플레이션[fishflation]

    수산물과 인플레이션의 합성어로, 수산물 가격 상승이 전반적인 물가 상승을 야기하는 현상을 ...

  • 퍼네이션[funation]

    퍼네이션은 ‘재미(fun)’와 ‘기부(donation)’의 합성어로, ‘즐거움을 느끼며 기...

  • 파생결합상품

    파생금융상품의 일종으로 주식 채권 예금 등 일반적 금융상품에 파생계약을 결합한 형태다.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