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그린론

 

신재생에너지, 전기자동차, 에너지 효율화 등 친환경 사업 프로젝트와 인프라 사업의 자금 조달에 활용되는 금융 기법이다. 그린 론을 통해 자금 조달에 성공하면 친환경 미래 사업이라는 이미지뿐 아니라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진다. 또 그린 론은 분할 인출이 가능해 투자 상황에 따라 자금 흐름을 관리할 수 있다.

2019년 8월 15일 SK이노베이션은 국내 기업 중 처음으로 그린 론(green loan) 형태로 한국 미국 유럽 중국 은행에서 각각 6억2000만달러(약 7500억원)와 5억위안(약 800억원) 등 총 8300억원의 자금을 빌리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조달 금리는 리보(런던 은행 간 거래 금리)에 0.98~0.99%포인트를 더한 수준으로 정해졌다.

SK이노베이션은 이 자금을 모두 배터리와 분리막 시설 투자에 쓸 계획이다. 우선 오는 21일 1억1000만달러를 빌려 헝가리 배터리 공장 건설에 투입한다. 이어 23일에는 뱅크오브아메리카 등에서 자금을 조달해 미국 조지아주 배터리 공장을 짓는 데 쓴다. SK이노베이션은 투자가 완료되는 2022년 국내를 포함해 40GWh 규모의 배터리 생산 능력을 갖추게 된다.

  • 골드 칼라[gold collar]

    두뇌와 정보로 새로운 가치를 창조해 이끌어 가는 인재들을 일컫는다. 이들은 자발성과 창의성...

  • 간접세[indirect tax]

    ① 납세자와 실질적 부담자가 다른 세금. 대표적으로 부가가치세, 주세, 관세 등의 소비세가...

  • 글로나스[GLONASS]

    러시아가 교통, 물류, 국방 등에 활용하고 있는 자체 위성항법체계. 구소련이 198...

  • 급여 항목

    국민건강보험에서 의료비 일부를 지급하는 진료나 치료 항목을 뜻한다. "급여"는 본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