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필수사용량 보장공제

 

필수공제는 전기 사용량이 월 200㎾h 이하인 저소비층에 월 4000원 한도로 요금을 깎아주는 제도다. 2018년 기준으로 958만 가구(전체 가구의 49%)가 혜택을 봤으며 총 할인금액은 3964억원이다.

2020년 12월 17일 정부와 한국전력은 전기 요금 개편안을 확정하고 ‘필수 사용량 보장 공제’ 제도를 2021년 7월부터 50%로 축소하고, 2022년 7월 전면 폐지하기로 발표했다.

관련어

  • 프런티어 시장[frontier market]

    스탠더드 앤 푸어스(S&P)가 투자하기엔 규모가 너무 작은 22개 증시를 묶은 신조어로 신...

  • 표준소득률

    연간 총매출액에서 총비용을 뺀 순소득이 차지하는 비율로 납세자의 세금액수와 직결되므로 「제...

  • 프로그램 차익거래

    선물과 현물간의 가격차(시장베이시스)를 이용해 무위험 수익을 내는 투자기법이다. 선물이 고...

  • 파킹성 매각

    대기업들이 PEF에 계열사를 매각하면서 되사올 기회를 남겨놓기 위해 매수자인 PEF에 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