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표준감사시간제도

 

감사업무의 품질을 높이고 투자자 등 이해관계인을 보호하기 위해 외부감사업무를 수행하는 감사인이 최소한 투입하여야할 감사시간을 의미한다. 2018년 개정된 외부감사법의 핵심내용으로 2019년 1월1일 부터 개시하는 사업연도 재무제표에 대한 감사부터 적용되고 있다.

주요 내용은

▷표준감사시간이 직전년도 감사시간보다 30%(다만, 자산규모 2조원 이상은 50%) 이상 상승하는 경우 30%(자산규모 2조원 이상은 50%)를 초과하지 않도록 상승률 상한제 도입

▷자산규모 2조원 미만 기업은 단계적 적용, 유예(별표:그룹별 적용 예 참고)

▷특히 자산 200억원 미만 중소기업은 적용 배제

▷11개 그룹으로 세분화(당초안 6개 그룹)하여 기업별 특성을 최대한 반영 ▷내부회계관리제도 감사시간 가산율 30%(당초안은 40%)부터 단계적으로 적용 등이다.
표준감사시간제도는 회계 투명성을 위해 도입됐지만 감사시간이 크게 늘어나면서 상장기업의 외부감사비용이 50%이상 뛰는 등 기업에 부담을 주는 현상도 나타나고 있다.

  • 프론트어 마켓[Frontier Market]

    전세계 이머징마켓(신흥시장) 중에서도 전반적인 경제 규모와 주식시장 전체의 시가총액이 상대...

  • 플랜B[Plan B]

    2012년 존 베이너 미국 하원의장이 내놓은 재정협상안. 2012년 말로 종료되는 부시 감...

  • 파이낸셜 포비아[financial phobia]

    사람들이 돈문제로 겪는 받는 심리적, 육체적 고통을 받는 증상을 말한다. 가슴 답답함과 심...

  •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

    당류를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장(腸) 기능 개선을 돕는 유익한 균(菌)을 말한다. 쎌바이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