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에너지 기본계획

 

5년 주기로 수립하는 에너지 분야의 최상위 법정계획으로 '에너지 헌법'으로 불린다. 현재 시점부터 향후 20년 동안의 에너지 수요·공급 전망, 에너지 확보·공급 대책, 에너지 관련 기술 개발과 인력 양성 계획 등이 들어간다. 어떤 에너지 비중을 늘려갈지도 결정된다. 5년마다 수립하는 계획이다.

에너지기본계획의 구속을 받는 하위 계획도 10여 개에 이른다. 전력수급기본계획, 해외자원개발기본계획, 신재생에너지기본계획, 에너지이용합리화계획, 에너지기술개발계획, 석유비축계획 등이다. 전력기본수급계획이 특히 중요한 계획으로 꼽힌다. 에너지원별 발전 비중을 정하기 때문이다. =>9차 전력수급기본계획

  • 이머징7[E7]

    브릭스 4개국 (브라질, 러시아, 인도, 중국)에 인도네시아, 멕시코, 터키를 더한 7개 ...

  • 외환 포지션[foreign exchange position]

    외환의 매도액과 매입액의 차액, 즉 외화자산과 외화부채의 순차액을 말한다. 외화자산이 외화...

  • 웨어러블 메모리[wearable memory, ePOP]

    삼성전자가 세계 최초로 양산하고 있는 웨어러블 기기 전용 메모리반도체 패키지(ePOP). ...

  • 야간뇨

    소변을 보기 위해 잠에서 깨는 증상. 국내 60대 성인의 절반 이상이 야간뇨로 인해 수면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