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한국형 실업부조

 

저소득층 구직자에게 생계 보장과 취업 지원을 위한 급여를 주는 제도로 2020년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고용보험에 가입하지 못한 근로 빈곤층과 구직활동을 하는 청년, 폐업 위기에 놓인 자영업자 등에게 일정기간 지원금을 준다.

구체적으로 기준중위소득 50% 이하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하고 단계적으로 확대하며 지원금액은 최저 생계를 보장하는 수준의 정액 급여로, 수급 기간은 6개월을 원칙으로 하되 타 지원 제도와의 정합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구체화하기로 했다.

또 실업부조 수급자에게는 구직 기간 적극적이고 실효성 있는 고용서비스를 제공하고 필요한 경우 실질적인 직업훈련 기회를 제공키로 했다.

관련어

  • 확정금리부채권

    확정이자율에 의한 일정금액을 약정기일에 지급하는 채권으로 국공채와 회사채의 대부분이 이에 ...

  • 해시태그[hash tag]

    ''#'' 뒤에 특정 단어를 넣으면 연관된 글, 사진을 모아서 볼 수 있는 기능. SNS인...

  • 호프만식 계산법[Hoffmann method]

    교통사고 피해자 등에 대한 손해배상액 계산 등에 쓰이는 방식으로 독일의 경제학자 D.호프만...

  • 혼합스와프[cocktail swap]

    국내은행들이 홍콩에서 자금을 조달할 때 "혼합스왑(cocktail swap)"을 취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