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 활용 7대원칙
일본 내각부가 인공지능(AI) 기술 이용을 활성화하기 위해 제정한 원칙. 2018년 11월 말 공표할 예정으로 내각부 자문기구인 ‘인간 중심 AI 사회 원칙 검토회의’가 마련한 것이다.
7대 원칙에는 △기업이 AI 결정 과정에 책임을 진다 △AI는 인간의 기본적 인권을 침범하지 않는다 △누구든 AI를 이용할 수 있도록 교육을 충실히 한다는 내용이 들어가 있다. 또 △개인 정보를 신중하게 관리한다 △보안을 철저히 한다 △공정한 경쟁 환경을 유지한다 △국경을 넘는 데이터 이용 환경을 정비한다는 항목도 포함됐다.
AI 활용 원칙의 핵심은 ‘기업이 AI 결정 과정에 책임을 진다’는 조항이라는 분석이 제기된다. AI 판단으로 법적 책임을 져야 하는 사고가 발생했을 때 책임 유무를 명확히 규정한 것이다. 동시에 일본 정부는 AI가 은행 대출 심사나 자율주행차 운전을 한다면 어떤 과정을 거쳐 판단했는지를 추후에 확인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AI 판단에 대한 불안감과 의구심을 줄이기 위해서다. 일본 정부는 7대 원칙을 기반으로 관련법을 정비할 계획이다.
구글, 애플, 아마존 등 정보기술(IT) 기업들이 AI 기술 개발을 이끌고 있는 미국에선 AI 활용 규칙이 기본적으로 기업 자율에 맡겨져 있다. 반면 중국은 국가 주도로 빅데이터를 관리하는 추세다.
-
이벤트 프로듀스[event produce]
기업의 이미지 향상이나 진흥을 위한 문화행사, 스포츠 대회, 박람회, 축제, 페스티벌, 심...
-
유형자산[tangible assets]
유형자산은 재판매 목적보다는 영업활동에 사용할 목적으로 취득한 물리적 실체가 있는 자산으로...
-
외부효과의 내부화[internalizing an externality]
세금으로 외부효과를 개선하는 것을 말한다. 정부가 생산자에게 세금을 부과하면 사회적 최적 ...
-
유연안정성[flexicurity]
유연성(flexibility)과 안정성(security)을 결합한 용어로 기업에게는 해고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