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이자소득세

 

이자소득에 대해 붙는 세금.

이자소득 원천 징수의 대상이 되는 것은 예금의 이자 및 할인액에 대한 것 뿐 아니라 채권 및 증권의 이자 및 할인액, 채권 증궝의 환매 조건부 매매차익, 저축성보험의 보험차익, 어음할인료, 저축성 보험의 보험 차익 등이다.

이자소득세율은 원천징수시 세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기본적으로 14%(지방세 포함시 15.4%)이지만, 실지 명의가 확인 되지 않는 이자 소득에 대해서는 38%-90%, 3년이상 장기채권의 이자 소득에 대한 분리과세 신청시에는 30%의 세율이 적용된다.

한편, 이자소득세는 이자가 발생하는 시점이 아니라 이자를 실제 지급받는 시점을 기준으로 산정한다. 인출금액이 원금을 초과하지 않으면 세금이 발생하지 않는다.

관련어

  • 요소 쿼터제[urea quota system]

    중국이 2024부터 해외로 수출하는 요소의 양을 제한하는 정책. 요소는 전 세계적으로...

  • 유연근무제도

    단시간 근로, 시차출퇴근제, 집중근무시간제, 요일근무제, 재택근무 등 육아 및 가사노동을 ...

  • 일반은행[commercial bank]

    구미 선진국에서 금융기관의 중추를 이루는 것은 상업은행인데 우리나라에서 이에 해당하는 금융...

  • 아이스레이크[Ice Lake]

    인텔이 2019년 공개한 10나노 공정 기반의 10세대 코어프로세서. 한국에선 10월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