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주택 전기료 부가세

 

주택용 전기요금에 붙는 10%의 부가가치세를 말한다. 공공요금 중 수도요금에는 부가세가 붙지 않지만 전기료에는 부과된다.
주택용 전기료에 붙는 부가세는 사용 요금의 10%다. 여기에 요금의 3.7%를 준조세인 전력산업기반기금으로 내야 한다. TV 수상기가 있는 가정은 2500원의 TV수신료도 추가된다. 한 달에 3만원어치의 전기를 쓰는 가정이 있다면 실제 고지서에 찍히는 금액은 3만6610원이다.

대표적 간접세인 부가세는 일부 생활필수품에 한해 면제되고 있다. 저소득층을 포함한 일반 국민이 세금 때문에 소비에 제약을 받아서는 안 된다는 취지다. 쌀 채소 등 농축산물, 연탄, 여성용 생리대 등에 부가세가 붙지 않는다. 공공요금 중에는 수도요금에 부가세가 면제된다. 하지만 같은 공공요금이라도 전기료와 가스요금에는 부가세가 붙는다.

  • 중학개미

    중국 및 홍콩기업 주식에 투자하는 개인 투자자. 미국을 필두로 한 해외 주식에 투자...

  • 자일로스

    자일리톨의 원료가 되는 단당류 소재다. 자일리톨은 충치의 원인이 되는 물질을 만들어 내지 ...

  • 직렬‧직류

    공무원 직무를 분류하는 용어. 직렬은 직무의 종류는 유사하나 책임도가 다른 직급의 집합을...

  • 주식형 연금저축펀드

    집합투자재산의 60% 이상을 주식에 투자하는 연금저축펀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