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스핀오프

[spin off]

정부출연기관의 연구원이 자신이 참여한 연구결과를 갖고 창업할 경우 정부 보유로 되어 있는 기술의 사용에 따른 로열티를 면제해주는 제도. 미국에서는 항공우주국(NASA) 등에 근무했던 연구원들이 개발에 성공한 첨단기술을 토대로 벤처기업을 창업, 국가 경제발전에 상당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정부출연 연구소는 내규등을 통해 ‘스핀오프’를 금지하고 있어 벤처기업 활성화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② 기업이 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일부 사업부문을 떼어내 자회사로 독립시키는 것으로 기업간인수·합병(M&A)의 반대라 할 수 있다. 기업이 스핀오프를 하는 기본적인 이유는 사업부문을 여러 개의 자회사로 독립시켜 경영효율을 기하고 주주들의 만족을 높이려는 데 있다. 한편으로는 기업들이 스핀오프를 통해 군살을 빼려는 의도도 있다.

  • 신차품질조사[Initial Quality Survey, IQS]

    미국의 J.D Power사에서 사용하고 있는 신차 품질평가 방식. 출고 3개월 경과 차량에...

  • 스마트 오피스

    직원들이 주거지 근처에서 원격 근무할 수 있는 전용사무실로 화상회의시설, 육아시설 등이 갖...

  • 선구매 후지불[Buy Now Pay Later, BNPL]

    미국에서 소비자 대신 결제업체(BNPL)가 먼저 물건 값을 가맹점에 지불하고 소비자는 결제...

  • 사이맥스[SIMEX]

    1984년 개장된 싱가포르의 금융 선물 및 옵션 거래소. 시카고의 CME와 제휴하여 서로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