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부회계관리제도
재무제표 오류와 부정비리를 막기 위해 재무보고와 관련된 회사 업무를 관리 통제하는 내부 통제 제도의 일부분이다.
이는 기업의 재무보고 프로세스에 대한 효과적인 통제를 통해 회계정보의 신뢰성을 확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기업은 내부회계관리제도를 구축하고 운영해야 하며, 이를 위해 내부회계관리자를 지정하고 내부회계관리규정을 제정해야 한다.
외부감사법 시행령에 따라 내부회계관리제도 감사 적용 시기와 대상 기업의 자산 규모는 다음과 같다.
1.별도 내부회계관리제도 감사 적용 시기
직전 사업연도 자산 2조원 이상 상장회사: 2019년
직전 사업연도 자산 5천억 이상 상장회사: 2020년
직전 사업연도 자산 1천억 이상 상장회사: 2022년
직전 사업연도 자산 1천억 미만 상장회사는 2023 사업연도부터 내부회계관리제도 외부 감사 면제(검토 유지)
2.연결 내부회계관리제도 감사 적용 시기
직전 사업연도 자산 2조원 이상 상장회사: 2023년
직전 사업연도 자산 5천억 이상 상장회사: 2029년
직전 사업연도 자산 1천억 이상 상장회사: 2030년
관련어
- 참조어신외부감사법
-
내부정보[inside information]
공식화되지 않은 회사의 업무. 회사가 수행하려 하는 사업이나 과거 공표된 정보가 오류라면 ...
-
녹내장
안구의 안압이 높아져 시신경이 손상되고 시야가 좁아지는 현상. 노화 등의 이유로 시신경이 ...
-
노르웨이정부연기금[Government Pension Fund Global, GPFG]
노르웨이가 운영하고 있는 세계최대의 국부펀드. 2019년 말 현재 자산규모가 1조1500억...
-
녹인[knock-in]
주가연계증권(ELS) 투자 시 원금 손실이 발생할 수 있는 수준을 말한다. 평가기간 중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