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주기적 감사인 지정제

 

주기적 감사인 지정제는 기업이 6년간 감사인을 자율적으로 선임한 후, 다음 3년은 증권선물위원회가 지정한 감사인으로부터 감사를 받는 제도이다.

기업과 감사인 간의 유착관계를 방지함으로써 회계정보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고, 독립적인 외부감사가 이루어져 경영진의 부정행위나 오류를 보다 효과적으로 감시할 수 있다.

2020년부터 자산 규모 1,220억 원 이상의 상장사를 대상으로 시행되었으며, 2023년부터는 전체 상장사로 확대되었다.

관련어

  • 주말효과

    주식시장에서 월요일의 수익률이 다른 요일의 수익률에 비해 낮은 현상을 말한다. 기업들은 나...

  • 자문형 랩

    증권사나 투자자문사의 자문을 받아 운용되는 증권사의 랩어카운트 상품이다. 자문은 증권사나 ...

  • 주니어 사무라이[junior samurAI]

    뱅크오브아메리카(BoA)의 애널리스트 비베크 아리아가 엔비디아의 뒤를 이을 차세대 인공지능...

  • 지구환경기금[Global Environment Facility, GEF]

    1990년 10월 개발도상국의 환경분야 투자 및 환경 보호하는 사업 및 프로그램에 대한 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