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스팀잇

[steemit]

네드 스캇과 댄 라이머가 2016년 4월 시작한 블록체인 미디어 플랫폼.

페이스북이나 네이버의 블로그처럼지 자신이 제작한 콘텐츠를 올릴 수 있고 독자들이 그 콘텐츠가 마음에 들면 ‘업보트(upvote)’를 누른다. 말하자면 페이스북의 ‘좋아요’와 같은 것이다.

제작자가 올린 콘텐츠에 업보트가 많을수록 더 많은 가상화폐를 보상으로 받는다. 자신의 콘텐츠가 바로 수익 모델인 셈이다.

스캇 스팀잇 창업자는 “글쓴이가 광고 없이 콘텐츠 그 자체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도록 하고 싶다”며 “이를 통해 좋은 콘텐츠 제작자들을 플랫폼으로 끌어들이고 긍정적인 온라인 커뮤니티를 구축해 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같은 스팀잇의 ‘콘텐츠 기반 보상 시스템’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블록체인이다. 스티머(스팀잇 이용자)가 올린 콘텐츠는 블록체인에 기록된다. 이 때문에 스팀잇에 올린 콘텐츠는 7일이 지나면 수정이나 삭제가 불가능하다. 콘텐츠에 추천을 눌러주는 스티머에게도 보상이 돌아간다. 콘텐츠를 통해 얻은 수익의 75%는 콘텐츠 제작자가, 25%는 추천자가 나눠 갖는다.

스팀잇에서 지급하는 가상화폐는 세 가지다. 스팀(Steem)·스팀파워(Steem Power)·스팀달러(Steem Dollars)다. 대표 가상화폐는 ‘스팀’이다. 가상화폐거래소에서 거래되며 시세 또한 거래소에서 형성된다. 스팀파워는 스팀잇에서의 영향력을 나타낸다. 스팀파워를 많이 보유한 회원이 다른 회원의 콘텐츠에 투표하면 그만큼 큰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고 보상도 커진다. 스팀달러는 최소 미국 1달러의 가치가 보장되도록 설계돼 있다. 스팀의 급격한 가격 변동에 대응할 수 있는 일종의 안전자산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다양한 가상화폐를 통해 콘텐츠를 거래할 수 있게 함으로써 스팀잇이라는 미디어 생태계가 돌아가게 하는 것이다.

2018년 2월 현재 스팀잇을 사용하는 스티머는 대략 50만 명을 넘어선 것으로 추정된다. 최근에는 국내에서도 스팀잇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며 방문자 수가 늘고 있다. 웹사이트 트래픽 분석기업 알렉사에 따르면 스팀잇 방문 국가 트래픽이 가장 높은 곳은 미국에 이어 한국이 2위다. 전체 방문자 트래픽의 11.2%가 한국에서 발생하고 있다.

  • 시장심도[market indepth]

    1,000주 거래시 가격변동이 1호가단위 이하인 거래량의 비중.

  • 시설관리[facility management, FM]

    전문관리기술을 활용해서 건물을 양호한 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말한다. 시설관리는 크게 ...

  • 사이버 망명[cyber asylum]

    인터넷 게시판, 이메일, 메신저 이용자들이 개인 정보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국가기관의 감청권...

  • 수면무호흡증[snoring, sleep apnea]

    수면무호흡증은 자는 동안 10초 이상 숨이 멈추는 증상이 반복되는 질환이다. 대개 한 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