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화 국제화
위안화가 세계 경제에서 지급결제 및 가치저장 수단으로 널리 사용되는 것을 말한다. 이를 위해 중국 정부는 2009년부터 위안화 무역 결제를 시작하고, 2012년부턴 ‘중국형 국제결제시스템(CIPS)’을 도입하는 등 위안화 국제화에 공을 들여왔다. 2014년 3월에는 달러화 대비 위안화 환율의 하루 변동 폭을 1%에서 2%로 확대했다.
중국 정부는 위안화 국제화가 이뤄지면 △무역 거래비용 감소 △환리스크 축소 △자금 조달 효율성 증대 등이 가능해 중국 국익에도 적잖은 도움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중국 금융당국은 외화 자금이 해외로 빠져나가는 것을 막기 위해 2016년 11월부터 각종 자본거래를 통제하는 조치를 강화하는 등 시장개입을 함에 따라 국제결제시장에서 위안화가 차지하는 비율은 늘지 않고 있다. 2013년 0.63%에 불과하던 위안화 비중은 2014년 2.17%, 2015년 2.31%로 뛰었지만 2016년엔 1.68%로 떨어졌다.
위안화 국제화를 위한 중국 정부의 노력이 성과를 내고 있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독일 중앙은행인 분데스방크는 2018년 1월 15일 위안화를 외환보유액 운용 통화에 포함하겠다고 발표했다. 같은날 프랑스 중앙은행은 외환보유액 중 일부를 이미 위안화로 보유하고 있다고 밝혔다. 유럽중앙은행(ECB)은 지난해 6월 위안화를 외환보유액 구성 통화에 포함했다.
국제통화기금(IMF)은 2016년 10월 특별인출권(SDR) 통화 바스켓에 달러화, 파운드화, 엔화, 유로화에 이어 위안화를 편입했다. SDR 편입으로 국제 통화로서 위안화 위상이 높아졌다는 평가가 나오기도 했다. 파키스탄 중앙은행은 2018년 1월 중국과의 경제협력을 강화하고 교역을 늘리기 위해 무역 결제 수단으로 위안화를 사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
양자키 분배기
통신망의 데이터 송신부와 수신부에서 양자 암호키를 동시에 생성·분배한다.
-
일본재흥전략[日本再興戦略, JAPAN is BACK]
아베정권 출범(자민당) 이후, 일본 경제 재건을 목적으로 수립된 전략으로 2013년 6월 ...
-
일·EU 경제연대협정[Japan-EU Free Trade Agreement, EU-Japan Economic Partnership Agreement, JEFTA]
일본과 유럽연합(EU)의 자유무역협정(FTA)으로 2019년 2월 1일 발효됐다. 일...
-
엑시노스 980
삼성전자가 5세대(5G) 이동통신용 통신칩(모뎀칩)과 모바일 애플리케이션프로세서(AP)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