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반도체 슈퍼사이클

 

반도체 슈퍼사이클이란 PC, 스마트폰, 서버, 인공지능(AI), 자율주행차 등 산업 전반에서 메모리 및 시스템 반도체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이로 인해 D램 등 주요 제품의 가격이 장기간 상승세를 보이는 현상을 말한다.
본래 슈퍼사이클은 원유·금속 등 원자재 시장에서 사용되던 용어로, 글로벌 경기나 기술 패러다임이 크게 전환되는 시기에 가격이 수년 이상 상승하는 구조적 추세를 뜻한다.

반도체 산업에서의 슈퍼사이클은 4차 산업혁명,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전장(電裝) 산업 등 신규 수요의 등장과, 공급망의 투자 지연 및 생산 공정 고도화가 맞물리며 발생한다. 이로 인해 시장 전반의 매출, 수익, 설비 투자, 고용이 동반 확대되는 구조적 장기 호황이 나타난다.
산업 혁신 속도가 빨라지고 시장 전반이 여러 해에 걸쳐 높은 실적을 지속한다는 점에서 단기 급등 현상인 ‘슈퍼 스파이크(super spike)’와는 구분된다.

최근에는 D램 가격이 급등하며 반도체 슈퍼사이클에 대한 기대가 다시 커지고 있다. 예컨대 범용 D램(DDR4 8Gb) 현물 가격은 2024년 초 약 1.46달러에서 하반기에는 5.86달러까지 오르며, 약 300% 이상 상승했다. 수요는 AI·자율주행차·고성능 컴퓨팅 분야에서 쏟아지는 반면, 공급은 제한적인 상황이다.

한국 내 실사용 사례나 영향:
2017년 슈퍼사이클 당시, 한국의 반도체 수출은 9~11월 세 달 연속으로 90억 달러를 넘어서며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삼성전자는 같은 해 3분기까지 반도체 부문에서 24조 원 이상의 영업이익을 올렸고, SK하이닉스는 일본 도시바 인수를 추진하며 글로벌 입지를 확대했다.

2024년에는 고대역폭 메모리(HBM) 수요가 급증하며, SK하이닉스의 3분기 매출이 약 24조 6700억 원, 영업이익은 약 11조 3400억 원에 이를 것이라는 분석도 나왔다. 업계에서는 이를 “AI 슈퍼사이클의 본격 진입”으로 평가하고 있다.

관련어

  • 블레어 하우스 협정[Blair House Agreement]

    미·EC간 체결된 농산물 협정. 1992년 11월미국과 유럽공동체(EC) 간에 체결된 농산...

  • 반도체 자동이송시스템[automated material handling system, AMHS]

    반도체 제조라인에서 회로판을 적재한 회로판 저장용기(FOUP, Front Opening U...

  • 부가가치[value added]

    부가가치는 일정기간 동안에 경제활동주체가 생산활동에 참여하여새로이 창출한 가치를 말하는데 ...

  • 배리어 코팅[barrier coating]

    기존 유리기판을 플라스틱으로 대체하면서 발생하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플라스틱 기판에 부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