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동력분산식 열차

 

디젤 엔진이나 전기 모터 같은 동력원이 모든 전동차량에 장착돼 있는 열차. 기존 열차는 맨 앞과 맨 뒤에 동력장치가 달려 있어 앞이나 뒤에서 끌어주는 방식이다. 동력분산식 열차는 열차 량마다 동력장치를 설치해 공간을 아끼고 가속과 감속 성능이 뛰어나다는 분석이다.
사륜구동 자동차에 비유돼 가속하거나 급정차할 때 안전한 게 강점이다. 기차역 구간이 짧고 산악 지형이 많은 한국에 적합하다는 평가가 많다.
우리나라에선 현대로템이 2012년 세계에서 네 번째로 동력분산식 고속열차 국산화에 성공했다.
현대로템은 2016년 5월 23일 코레일에 처음으로 동력분산식 고속열차 ‘해무 250(EMU-250)’30량(량당 약 34억원, 총 1020억원)에 대한 입찰에서 수주를 성사 시킨바있다.

  • 동산담보

    원자재, 반제품, 재고자산 등 동산, 특허, 실용신안 등 지식재산권, 채권 등에 대한 소유...

  • 단체교섭[collective bargaining]

    고용자측과 피고용인의 대표 사이에 교섭에 의한 노사분쟁 해결과정을 말한다.

  • 데미스 하사비스[Demis Hassabis]

    영국의 인공지능 과학자이자 구글 딥마인드의 대표이자 2024년 노벨 화학상 수상자. ...

  • 대규모 기업집단

    동일인이 둘 이상의 회사에 단독으로 또는 친·인척 비영리법인 계열회사 사용인 등과 합해 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