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니스커트 효과
불황일 때는 가라앉은 기분을 띄우기 위해 미니스커트를 입는 현상. 무거운 사회적 분위기를 환기하기 위해 미니스커트를 입는다는 것이다. 하지만 미니스커트 효과도 한계가 있다. 우리나라에서 미니스커트가 유행한 것이 1995년인데 외환위기를 겪은 1997년에는 치마가 길어졌다다. 2000년대에 들어서도 경기와 상관없이 미니스커트는 꾸준히 유행하고 있다.
미니스커트 효과와 비슷한 용어로 경제가 어려울수록 옷은 잘 안 팔리지만 여성들이 립스틱과 같은 저가 화장품을 많이 구매한다는 ‘립스틱 효과’를 꼽을 수 있다.
-
멘토링[mentoring]
오디세우스가 트로이전쟁에 참가하면서 아들 텔레마코스를 친구인 멘토르에게 부탁하는데 여기에서...
-
매파와 비둘기파[Hawk and Dove]
‘매파’와 ‘비둘기파’는 경제·금융 정책뿐 아니라 외교·안보 분야에서 입장 차이를 상징적으...
-
미국 비자[US Visa]
미국 정부가 외국인에게 발급하는 공식 입국 허가 문서. 비자를 소지했다고 해서 자동 입국...
-
매니지리얼 마케팅[managerial marketing]
마케팅의 역할을 사회나 경제와 같은 전체적인 시점에서 파악하는 것이 아니라 기업목적에 비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