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텔레그램

[Telegram]

전 세계 7억 명 이상의 사용자가 이용하는 모바일 메신저.

2013년 러시아 출신의 기업가 파벨 두로프(Pavel Durov)와 그의 형제 니콜라이 두로프(Nikolai Durov)가 러시아 당국의 검열에 반발해 독일에서 만들었다.

텔레그램은 사용자 프라이버시 보호와 강력한 보안 기능을 앞세워 글로벌 디지털 커뮤니케이션의 중심으로 떠올랐다.

텔레그램은 클라우드 기반의 메시징 플랫폼으로, 사용자들이 메시지, 사진, 영상, 파일 등을 안전하게 주고받을 수 있게 한다. 특히 엔드투엔드 암호화와 비밀 채팅 기능을 통해 대화의 보안을 철저히 지키며, 사용자 프라이버시를 최우선으로 하는 혁신적인 기능으로 큰 호평을 받아왔다.

그러나 텔레그램의 강력한 보안 기능은 양날의 검이 되기도 한다. 최근 몇 년간 텔레그램은 딥페이크 성범죄, 불법 포르노 배포, 그리고 마약 거래 방조 등의 심각한 문제들로 비판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익명성과 보안성이 보장되는 플랫폼 특성상 범죄 조직들이 이를 악용하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는 세계 각국의 규제 당국과 사회적 논란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딥페이크 성범죄는 텔레그램에서 특히 심각하게 나타나고 있다. 범죄자들은 AI 기술을 이용해 유명인이나 일반인의 얼굴을 불법 성적 콘텐츠에 합성한 영상을 유포하고 있으며, 피해자들은 이를 차단하기가 매우 어려운 상황에 처해 있다. 이러한 영상은 개인의 명예를 심각하게 훼손하며, 피해자들에게는 돌이킬 수 없는 상처를 남기고 있다.

또한 텔레그램은 불법 포르노와 마약 거래의 온상이 되기도 한다. 플랫폼의 익명성과 암호화된 대화 기능을 이용해 범죄자들이 불법 콘텐츠를 유포하고, 마약 거래를 주도하는 사례가 보고되고 있다. 특히 폐쇄된 그룹이나 채널에서 이루어지는 불법 거래는 추적이 어려워, 법적 대응이 매우 까다로운 상황이다.

이러한 부작용에도 불구하고, 텔레그램은 2021년부터 광고와 유료 프리미엄 서비스를 도입하며 새로운 수익 모델을 구축했다. 광고는 개인 정보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방식으로 제한적으로 표시되며, 프리미엄 사용자는 추가 기능과 혜택을 받을 수 있다. 그러나 텔레그램의 이러한 상업적 확장에도 불구하고, 플랫폼의 부작용을 해결하기 위한 더 강력한 규제와 조치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관련어

  • 통합시청률[total screening rate]

    기존 TV 시청률 조사에 스마트폰이나 PC, IPTV 등으로 본 시청률을 합산해 집계한 시...

  • 탑다운방식[Top-down approach]

    주식을 선택하는 방법으로 거시경제 분석을 통해 유망산업을 선정하고, 그 다음 세부 기업을 ...

  • 투자형 ISA법

    ISA를 통해 투자하면 2023년부터 부과 예정인 주식 양도소득세를 비과세하는 한편 주식 ...

  • 특별공제

    근로소득자가 신청할 경우 공제혜택을 주는 항목으로 보험료, 의료비, 교육비 등이 이에 해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