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산업단지

 

토지의 합리적 이용과 지역 균형개발 등의 필요에 따라 공업 지역으로 지정한 구역. 1962년 울산공업단지를 시작으로 전국에 조성됐으며 당초 공업단지로 불렸다. 정부가 주도하는 국가산업단지와 민간이 추진하는 일반산업단지로 나뉜다.

사전 인허가에 따라 도로, 전기, 오폐수처리시설 등 기반시설이 조성된 뒤 기업이 입주한다. 수도권정비계획에 따라 면적 제한 규제를 받는다.

  • 사정

    법정관리 기업의 관리인(법원이 선임)이 부실경영으로 회사에 손해를 입힌 이사나 감사 등 구...

  • 사회적 잉여[social surplus]

    소비자 잉여와 생산자 잉여를 합한 값을 말한다. 만약 시장이 완전경쟁 상태에 놓여 있고 수...

  • 석유수출국기구[The Organization of the Petroleum Exporting Countries, OPEC]

    1960년 원유가격 하락을 방지하고 국제석유자본(석유메이저)에 대한 발언권을 강화하기 위해...

  • 성장주[growth stock]

    성장주는 현재보다 앞으로 성장 가능성이 큰 종목을 말한다. 가치주에 비해 현재 창출하는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