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담배세

 

담배를 소비할 때 과세하는 세금으로 일종의 소비세이다. 원래 국세였으나 1989년 지방재정을 확충한다는 취지에 따라 지방세로 이양되었다. 담배세는 담뱃값에 일정한 세율을 곱하는 종가세가 아니라 물량에 비례해 과세하는 종량세이다. 담배세의 납세의무자는 담배제조업자(담배인삼공사)와 외산담배 수입판매업자, 외산담배를 휴대하고 입국하는 사람이다.

담배제조업자와 수입업자는 매월 1일부터 그달 말일까지 제조장이나 보세구역에서 반출된 담배에 대해 다음달 말일까지 관할 시·군에 담배세를 신고, 납부해야 한다. 담배세가 면제되는 경우는 수출, 군부대 및 보세구역판매, 시험분석 및 연구용, 국제선 기내용 판매 등이다.

  • 디지털TV 수신카드

    디지털 방송을 컴퓨터에서 볼 수 있도록 하는 장치다. 5백25개의 주사선을 사용하는 아날로...

  • 디지털 포용성 벤치마크[Digital Inclusion Benchmark]

    기업이 지속 가능한 경영 관점에서 디지털 기술을 어느 수준으로 연구하고 사회와 얼마나 공유...

  • 단체표장[collective mark]

    조합이나 협회 등 일정한 단체의 회원이 사용하고 그 회원임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하는 상표...

  • 당뇨병

    혈액 속 포도당 농도가 높아져 소변과 함께 배출되는 질환이다. 포도당은 탄수화물의 기본 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