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채무계열 제도
은행 여신(대출)이 많거나 국가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큰 기업들을 골라 재무구조 등이 건전한지 상시 감독하고 필요할 경우 채권단을 통해 구조조정을 실시하는 제도. 관리 대상은 부채 규모가 금융권 전체 대출액의 0.075%(2014년 기준 1조2251억원) 이상인 대기업 그룹이다. 2014년 기준으로 삼성, 현대자동차, LG 등 42개 그룹이 여기에 해당한다.
대기업의 경영 건전성을 규율해 기업 부실을 사전에 막기 위한 것이다. 외환위기로 대우 기아 고합 등 대기업 그룹이 줄줄이 부실화돼 경제에 큰 충격을 주자 이들에 대한 선제적인 부실 관리를 위해 1999년4월에 도입한 제도다.
-
자발적 단순함[voluntary simplicity]
1960년대 반문화운동의 영향을 받아 생성된 생활양식. 많이 벌어 많이 쓰는 주류의 생활양...
-
직접 메탄올형 연료전지[Direct Methanol Fuel Cell, DMFC]
메탄올을 연료로 이용하며 일반 상온에서 전기를 만드는 건전지. 연료전지의 연료극이 메탄올로...
-
주가연계증권[equity-llinked securitie, ELS]
기초자산이 투자 기간에 미리 정해진 조건을 충족할 경우 투자자에게 연 5-10%의 수익을 ...
-
작은 간섭 리보핵산[siRNA]
유전자의 단백질 정보를 갖고 있는 전령 리보핵산(messenger RNA; mRNA)에 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