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주채무계열 제도

 

은행 여신(대출)이 많거나 국가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큰 기업들을 골라 재무구조 등이 건전한지 상시 감독하고 필요할 경우 채권단을 통해 구조조정을 실시하는 제도. 관리 대상은 부채 규모가 금융권 전체 대출액의 0.075%(2014년 기준 1조2251억원) 이상인 대기업 그룹이다. 2014년 기준으로 삼성, 현대자동차, LG 등 42개 그룹이 여기에 해당한다.

대기업의 경영 건전성을 규율해 기업 부실을 사전에 막기 위한 것이다. 외환위기로 대우 기아 고합 등 대기업 그룹이 줄줄이 부실화돼 경제에 큰 충격을 주자 이들에 대한 선제적인 부실 관리를 위해 1999년4월에 도입한 제도다.

  • 자산3분법

    가정에서 재산을 관리할 때 예금, 부동산, 주식에 분산하여 재테크하는 것. 안전성과 수익성...

  • 전자지급 결제대행[payment gateway service, PG]

    온라인 쇼핑몰에서 물건을 구매하고 카드 결제를 할 때, 판매자와 고객 사이에서 결제 정보를...

  • 죄수의 딜레마[prisoners' dilemma]

    자신만의 이익을 위한 선택이 자신과 상대 모두에게 불리한 결과를 낳는 상황을 뜻한다. ...

  • 재량면책 제도

    채무자가 면책 결격 사유가 있더라도 법관이 딱한 사정이나 회생을 위한 노력을 감안해 재량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