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자급제 폰과 알뜰 폰

 

`자급제 폰’과 ‘알뜰폰’은 가계 통신비를 줄이기 위해 정부가 도입한 것이란 점에선 같다. 그러나 자급제 휴대폰은 값싼 ‘휴대폰’을 유통하기 위한 것이고, 알뜰폰은 ‘통신비’를 낮추기 위한 것이란 점에서 다르다. 자급제 휴대폰은 2012년 5월 정부가 기존 이동통신사 중심의 유통구조를 개선해 이용자의 선택 폭을 넓히고, 휴대폰 가격 부담을 덜어준다는 취지에서 도입했다. 소비자가 휴대폰을 통신사 대리점에서 사는 게 아니라 대형마트나 온라인 등에서 구입한다는 게 특징이다.

자급제 휴대폰은 10만~30만원 정도의 싼 모델이 많다. 휴대폰을 사면 아무 통신사 대리점에서나 개통할 수 있다. 이때 통신사 대리점에서 휴대폰을 사서 개통할 때와 달리 ‘2년 의무약정’ ‘6만2000원 이상 요금제’ 등을 강요받지 않는다.기본료가 저렴한 요금제나 선불 요금제 등 자신의 입맛에 맞는 요금제를 선택할 수 있다.

알뜰폰(MVNO)은 SK텔레콤 등 이동통신사업자의 망을 도매가에 빌려 기존 통신사보다 30%가량 저렴한 가격에 비슷한 품질의 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휴대폰을 말한다. 기본료 1만5000원 요금제 등 통신비가 싸다. CJ헬로의 `헬로모바일', 에스원의 '안심모바일' 등 수십곳이 영업중이고 알뜰폰 매장이나 온라인에서 휴대폰을 개통할 수 있다.

자급제 휴대폰을 사도 알뜰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 재형저축

    연봉 5천만원 이하 근로자와 종합소득 3천 5백만원 이하 개인사업자에게만 가입자격이 주어졌...

  • 지리적표시제[Geographical Identification, GI]

    농수산물 및 가공품의 명성·품질 기타 특징이 본질적으로 특정지역의 지리적 특성에 기인하는 ...

  • 재난적 의료비[Catastrophic Medical Expenses]

    재난적 의료비란, 가구의 의료비 지불 능력 대비 의료비 지출이 과도하게 높은 상황을 의미한...

  • 주주가치

    주주들이 주식을 갖고 있음으로 해서 얻을 수 있는 대가를 뜻한다. 쉽게 말해 주식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