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웨보노믹스

 

인터넷 칼럼니스트 에번 슈워츠가 ‘월드 와이드 웹’(www)의 약어인 웹(web)과 경제학(economics)을 합성해 만든 신조어. 1970~80년대 빈사상태에 있던 미국경제가 1990년대 들어 경제이론으로도 설명되지 않는 장기호황을 누리자 그 배경을 인터넷으로 대표되는 디지털경제의 독특한 현상으로 설명하는 과정에서 이 용어가 탄생했다.

전통적 경제이론이 자원부족과 그에 따른 분배갈등을 뜻하는 ‘희소성의 원칙’을 전제로 하는 반면 디지털 경제이론은 공급과잉, 즉 항상 정보가 넘쳐난다는 가정에서 출발한다. 따라서 인터넷의 발전은 정보의 양이 아닌 질에 의해 적자생존이 결정되는 새로운 경제환경을 맞게 된다. 이를 ‘디지털 다윈주의(Digital Darwinism)’라 한다. 웨보노믹스는 인터넷상의 자원(지적재산)이 무궁무진하며, 이를 끊임없이 다운로드받을 수 있음을 전제로 삼는다.

  • 유로 4[EURO 4]

    유럽연합(EU)이 환경보호를 위해 적용하고 있는 배기가스 기준. 2001년 도입한 ''유로...

  • 완전자율주행[full self-driving, FSD]

    테슬라가 개발한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운전자가 개입하지 않아도 도심과 고속도로에서 차량이 ...

  • 어패럴 물류

    의류, 신발 등의 제품을 생산지(공장)에서 배송처(백화점, 로드샵)에 수송, 배송하는 물류...

  • 유동성[liquidity]

    유동성은 자산이 필요한 시점에 손실 없이 현금으로 전환될 수 있는 정도를 의미한다. 화폐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