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챗봇

[chatter robot, chatterbot]

기업용 메신저에 채팅하듯 질문을 입력하면 인공지능(AI)이 빅데이터 분석을 바탕으로 일상언어로 사람과 대화를 하며 해답을 주는 대화형 메신저를 말한다.

페이스북의 페이스북 메신저, 텐센트의 위젯, 텔레그램의 텔레그래, 킥의 봇숍, 슬랙사의 슬랙, 네이버웍스모바일의 운앱, 이스트소프트의 팀업 등이 이에 해당된다.

기업 입장에서 챗봇을 도입하며 인건비를 아끼고 업무시간에 상관없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개인정보 유출 등 부작용의 발생 가능성도 존재한다.

챗봇은 크게 인공지능형과 시나리오형으로 나뉜다.
시나리오형은 미리 정해 놓은 단어에 따라 정해진 답을 내놓기 때문에 보안 위험이 그리 크지 않다.
인공지능형 챗봇은 복잡한 질문에도 응답할 수 있고 자기학습도 가능하다. 하지만 이용자의 입력 단어에 의도치 않게 행동해 개인정보 유출, 피싱, 해킹 같은 보안 위협에 취약한 것으로 평가된다.

  • 참조가격제

    성분별 · 용량별로 기준이 되는 참조가를 설정해 놓고 이보다 비싼 의약품을 소비자가 선택할...

  • 채무동결 효과

    은행 등 금융권이 갖고 있는 채권만 동결된다. 협력업체들은 물품대금 등을 청구할 수 있다....

  • 차별화전략[differentiation strategy]

    경쟁 제품과 구별되는 특성을 강조하면서 자기 제품을 포지셔닝하는 전략을 말한다.

  • 체계적 위험[systematic risk]

    투자이론에서는 베타계수라고 하는데 증권시장 또는 증권가격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의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