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스토캐스틱

[Stochastic, Stochastic Oscillator]

주가는 많이 올랐다 싶으며 내리고 많이 내렸다 싶으면 오르는 파동적 성격을 가지고 있다.

스토캐스틱은, 최근 N일간의 최고가와 최저가의 범위 내에서 현재 가격의 위치를 표시할때, 매수세가 매도세보다 강할 때는 그 위치가 높게 형성되고, 매도세가 매수세보다 강할 때는 그 위치가 낮게 형성된다는 것을 이용한 것이다.

따라서 스토캐스틱의 값은 0%와 100% 사이에서 움직이게 되며, 값이 높을수록 매수세가 강하다는 것을 의미하고, 값이 낮을수록 매도세가 강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스토캐스틱은 추세전환을 파악하는 데 유용한 지표이지만, 단독으로 사용하기보다는 다른 지표와 함께 사용하여 종합적으로 판단하는 것이 좋다. 이는 스토캐스틱이 단기적인 가격 변동에 민감하기 때문이다.


조지 래인(George Lane)이란 사람이 만든 것으로 원래는 채권시장에서 사용되기 위해 만들어진 것으로 주식시장에서도 효과를 발휘하면서 유명해진 지표이다.

  • 식생지수[Vegetation Index]

    식물이 반사하는 가시광선과 근적외선의 양을 비교하여 계산되는 지표로서 식물의 건강 상태를 ...

  • 스프레드 시트[spread sheet]

    일상 업무에 많이 발생되는 여러 가지 도표 형태의 양식으로 계산하는 사무업무를 자동으로 할...

  • 성과연동 용량가격계수[performance capacity factor, PCF]

    민간 발전사업자가 운영하는 발전기의 전력 공급 기여도를 평가해 지원금을 차등 지급하는 제도...

  • 신용거래[margin transaction, margin trading]

    증권사가 고객으로부터 일정한 보증금을 받은 다음 주식을 사려는 자금이나 팔려는 주식을 빌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