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벌처펀드

[vulture fund]

부실한 자산을 저가에 인수해 상황이 호전된 후 고가로 되팔아 차익을 내는 기금 또는 회사를 의미한다. 사모펀드(PEF)형태로 바이아웃펀드 (buyout fund)의 일종이다. 벌처는 동물의 시체를 먹고 사는 대머리독수리를 뜻한다. 냉혹하지만 생태계를 유지해주는 순기능을 보유하고 있다. 벌처펀드란 이름도 이래서붙였다. 투자대상도 일시적으로 어려움에 빠진 기업의 자산이나 경영권, 부동산, 기업이나 국가의 부실채권 등 매우 다양하다. 기업의 경우 인원정리, 부동산매각, 유상증자 등의 구조조정을 통해 자산구조를 개선한 후 다시 매각한다. 투자형태별로 경영권인수형, 증권투자형, 자산인수형 등으로 구분된다. 우리나라에서는 기업구조조정 전문회사 (CRC)라고하고 1999년도에 도입됐다.

  • 바스켓제도

    통화바스켓은 2개 이상의 주요 교역국 통화가치와 국내 물가상승률을 감안,환율을 결정하는 제...

  • 백지어음

    금융기관이 기업에 대출을 할 때 담보로서 징수하는 것으로 대출받은 기업이 부도 등으로 기한...

  • 배당가능이익[profit available for dividend]

    배당금은 당기이익 중 사외로 유출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상법에서는 회사의 부실을 막기위해 주...

  • 변제[discharge]

    계약이나 채무의 의무를 이행하는 것으로 법률적 의무가 사라지는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