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글로벌산업분류기준

[Global Idustry Classification Standard, GICS]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와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이 1999년 공동 개발한 증시 전용 산업 분류기준을 말한다. 투자 분석과 자산 관리에서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이용되는 체계로 한국거래소도 2010년 7월부터 도입했다. GICS는 현행 국내 산업 분류기준을 대폭 보완할 것으로 기대된다.

GICS는 △1단계 경제섹터(10개) △2단계 산업군(24개) △3단계 산업(68개) △4단계 하위 산업(154개)으로 기준이 더 세분화돼 있기 때문이다. 기존 KRX업종분류는 생산활동이나 원재료를 중시하지만 GICS는 소비 관점에서 분류하는 차이도 있다. 예를 들어 한국타이어의 경우 현행 분류로는 ''화학제품 제조업''이지만 GICS로는 ''자동차 및 부품(자유소비재)'' 업종에 속한다.

현행 방식으로 국내 상장사를 분류하면 제조업 비중이 50%를 넘는 반면, GICS로는 소재 산업재 자유소비재 금융 정보기술 등 5개 섹터의 비중이 전체 시가총액의 84%를 차지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 공시지연[disclosure delay]

    공시지연은 상장회사가기한 내에 주요 경영사항이나 정보를 신고하지 않거나, 공시 기한을 넘겨...

  • 그린 메일[green mail]

    기업 사냥꾼이 경영권이 취약한 대주주에게 보유 주식을 높은 가격에 팔기 위해 보낸 편지를 ...

  • 공기업선진화방안

    공기업 구조개혁을 위해 이명박 정부가 2008년 8월 마련한 것으로, 민영화를 비롯 통폐합...

  • 게임시간 선택제

    만 18세 미만 청소년을 대상으로 본인 혹은 법정대리인이나 보호자가 요청할 경우 게임 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