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포이즌 풋

[poison put]

포이즌 풋은 해당 기업이 채무를 일시에 상환하는 제도로 채권자의 권리를 보호하는 장치이다. 하지만 포이즌 풋은 적대적 M&A를 피하는 방법으로도 쓰인다. 적대적 M&A 시도가 있을 때 해당 기업이 은행 등에 채무를 일시에 상환, 기업가치를 급격히 떨어뜨려 인수 대상으로서의 매력을 잃게 만든다. 기업 사냥꾼에게는 독과 같다 해서 포이즌 풋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우리나라에서는 2010년 6월 하이닉스반도체가 처음으로 이 제도를 도입했다.

  • 파리동맹

    특허·상표·의장 등 각국의 산업재산권 제도를 통일하기 위해 1883년의 파리협약에 따라 구...

  • 플랜B[Plan B]

    2012년 존 베이너 미국 하원의장이 내놓은 재정협상안. 2012년 말로 종료되는 부시 감...

  • 필로티 공법[pilioti]

    지상에 기둥이나 내력벽을 세워 건물 전체나 일부를 지표면에서 띄워 지상층을 개방시킨 구조로...

  • 프라이머리딜러 신용창구[Primary Dealer Credit Facility, PDCF]

    프라이머리딜러는 미국 뉴욕 Fed가 공인한 국채 딜러다. 투자은행 증권사 등 24곳이...